홈메이드 맑은 막걸리
누룩 없이 엿기름가루로 직접 빚는 맑고 맛있는 막걸리 레시피
냉장고에 남는 쌀, 그냥 두지 마세요! 집에서 누룩 없이 엿기름가루(맥아보리가루)만으로도 훌륭한 막걸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유튜버 바다식당, 할매입맛 레시피 채널의 팁을 참고하여 1L 분량의 막걸리를 만드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쌀의 풍미와 엿기름의 구수함이 어우러진 맑은 막걸리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주재료
- 쌀 500g (쌀 계량컵 4컵)
- 엿기름가루 150g
- 물 1L
- 드라이이스트 2 작은술 (2t)
- 설탕 (기호에 따라 추가)
조리 방법
Step 1
맛있는 막걸리를 위해 쌀은 정말 중요해요! 찹쌀 또는 일반 쌀 500g (쌀 계량컵 기준 약 4컵)을 준비해주세요. 쌀을 깨끗한 물에 5번 정도,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가볍게 씻어내면 막걸리 본연의 깔끔한 맛을 살릴 수 있답니다.
Step 2
밥을 지을 때 물 양을 조절하는 것이 포인트예요. 쌀 4컵에 맞춰 밥을 안치고, 평소보다 물을 약간 적게 잡아주세요. 일반 취사 모드로 ‘꼬들꼬들’한 고두밥을 지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지은 밥은 발효 과정에서 수분을 잘 흡수하여 막걸리 맛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줘요.
Step 3
갓 지은 뜨거운 밥은 절대 안 돼요! 밥을 지은 후에는 반드시 완전히 식혀주세요. 밥이 식는 동안 발효 과정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아주고, 효모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를 맞춰줍니다.
Step 4
이제 발효 용기를 깨끗하게 소독할 차례입니다. 집에 있는 밥솥의 내솥을 활용할 건데요, 뜨거운 물을 넉넉히 부어 내솥 안쪽 벽면을 골고루 돌려가며 소독해주세요. 이후 물을 버리면 뜨거운 증기로 인해 자연스럽게 건조되어 위생적인 발효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Step 5
발효 과정을 비교해보기 위해 밥솥 외에 1.5L 용량의 유리병도 함께 준비했어요. 유리병 역시 밥솥과 마찬가지로 뜨거운 물을 부어 벽면을 잘 돌려가며 소독한 후, 물을 버려 건조시켜주세요. 깨끗한 용기 사용은 막걸리 맛을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에요.
Step 6
이제 엿기름물을 만들 차례입니다. 소독한 유리병에 엿기름가루 150g과 물 1L를 넣고 골고루 섞어주세요. 그대로 1시간 동안 불려주시면 됩니다. 불리고 난 엿기름 찌꺼기는 버리지 말고 그대로 두세요. 잠시 후에 이 물을 다시 사용할 거랍니다.
Step 7
불린 엿기름 물을 밥솥 내솥에 옮겨 담고, 앞서 식혀둔 고두밥 전부와 드라이이스트 2 작은술(2t)을 넣고 덩어리 없이 골고루 잘 섞어주세요. 쌀알 하나하나에 엿기름물과 이스트가 잘 스며들도록 꼼꼼하게 섞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Step 8
발효 과정에서 부피가 2배 이상 부풀어 오를 수 있으니, 섞어둔 재료를 두 개의 용기에 나눠 담는 것이 안전해요. 저는 밥솥 내솥과 유리병에 각각 절반씩 나누어 담았습니다. 이렇게 나누면 넘칠 걱정 없이 편안하게 발효를 진행할 수 있어요.
Step 9
이 사진은 밥솥 내솥에 막걸리 재료를 절반만 채워 담은 모습입니다. 용기의 절반 정도만 채워야 발효 과정에서 넘치지 않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Step 10
밥솥 내솥 위를 깨끗한 면보로 덮어 밥솥 안에 넣어주세요. 막걸리 발효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5도입니다. 밥솥과 유리병 모두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놓아두세요. 밥솥은 단열이 잘 되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해서 발효에 좋습니다.
Step 11
밥솥 뚜껑은 닫아주세요. 밥솥 뚜껑은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약간의 틈이 있어 자연스럽게 공기가 통하므로, 발효 과정에 필요한 산소 공급은 충분히 이루어집니다.
Step 12
유리병 위에는 면 손수건이나 빳빳한 키친타월 3장을 겹쳐 덮고 고무줄로 단단히 고정해주세요. 그 위에 뚜껑을 살포시 얹어두면 먼지 유입을 막으면서도 적절한 환기가 가능합니다.
Step 13
유리병 위에 뚜껑을 살포시 얹어 놓은 모습입니다. 이 상태로 발효를 시작할 거예요.
Step 14
발효 중에는 매일 한 번씩, 소독한 도구를 사용하여 위아래를 잘 저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수저는 뜨거운 물에 잠깐 담갔다가 식혀서 소독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저어주면 쌀알에 갇힌 당분이 잘 풀어져 효모가 더 활발하게 활동하게 됩니다.
Step 15
3일 후 발효된 모습이에요. 비교를 위해 밥솥에 있던 것은 3일 발효 후 바로 걸러 냉장고에서 7일간 숙성시켰고, 유리병에 있던 것은 상온에서 10일간 발효시킨 후 걸렀습니다. (여름철에는 8일, 겨울철에는 10일 정도 발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Step 16
밥솥에서 3일 동안 발효된 막걸리를 체에 밭쳐 수저로 부드럽게 눌러가며 걸러주세요. 맑은 막걸리를 얻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Step 17
남아있는 술지게미(찌꺼기)는 면보에 넣고 짜서 남은 막걸리를 최대한 짜내주세요. 이 과정은 생략해도 괜찮습니다. 만약 술지게미를 따로 모으고 싶다면, 이를 활용해 모주를 만들거나 피부 팩 재료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Step 18
반씩 나누어 발효했기 때문에, 밥솥에서 걸러낸 막걸리는 약 500ml 정도 나왔어요. 이 막걸리는 냉장고에 보관하여 7일간 숙성시켰습니다. 숙성 과정을 거치면 더욱 부드럽고 깊은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Step 19
1L 용량의 깨끗한 병에 밥솥에서 걸러 숙성시킨 막걸리를 담은 모습입니다. 맑고 투명한 막걸리가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돌아요.
Step 20
이것은 유리병 안에서 10일 동안 상온에서 발효된 막걸리의 모습입니다. 밥솥에서 발효시킨 것보다 발효 기간이 길어 더욱 깊고 풍부한 풍미를 기대할 수 있어요.
Step 21
유리병에서 발효된 막걸리도 마찬가지로 체에 수저로 눌러가며 걸러줍니다. 면보를 사용해도 좋지만, 너무 촘촘하지 않은 성긴 천을 사용하면 힘이 덜 들고 막걸리를 짜내기 수월합니다.
Step 22
자, 완성된 두 가지 막걸리를 비교해볼까요? 3일간 발효 후 7일간 냉장 숙성한 막걸리는 탄산감이 강하고 시원한 대중적인 막걸리 맛을 냅니다. 반면, 10일간 상온 발효 후 걸러낸 막걸리는 마치 요거트처럼 부드럽고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이에요. 두 가지 맛 모두 매력적이니 취향에 따라 만들어 즐겨보세요. 마시기 전에 기호에 따라 물을 타거나 설탕 또는 꿀 1 큰술을 넣어 단맛을 조절해도 좋습니다. 완성된 막걸리는 한 달 안에 드시는 것이 가장 맛있어요. 보관 시 위에 맑게 떠오르는 청주는 요리하실 때 술 대신 활용하시면 풍미를 더해줄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