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콤달콤 맛있는 총각김치 (알타리김치) 레시피
엄마 손맛 그대로! 아삭하고 맛있는 총각김치 담그는 법
친정 엄마에게 배운 비법으로 만든 총각김치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알타리무는 원래 매운맛이 강하지만, 이 레시피대로 따라 하면 맵지 않고 짜지도 않은 맛있는 생김치를 맛볼 수 있어요. 아삭한 식감과 싱그러운 초록빛 색감이 일품인 총각김치, 꼭 한번 만들어 보세요!
주재료
- 알타리무 1단 (싱싱하고 단단한 것으로 준비)
- 쪽파 1/2줌 (다듬어서 준비)
찹쌀풀
- 찹쌀가루 3큰술
- 물 1컵 (200ml)
절임물
- 물 1리터 (1000ml)
- 굵은 소금 1/2컵 (종이컵 기준)
- 뉴슈가 1/2큰술 (설탕으로 대체 가능)
- 식초 1큰술
김치 양념
- 고춧가루 1/2컵 (종이컵 기준, 맵기 조절)
- 다진 마늘 3큰술
- 다진 생강 1/2줌 (엄지손가락 한 마디 정도)
- 사과 1개 (중간 크기, 껍질 벗기고 씨 제거)
- 양파 1/2개 (중간 크기)
- 새우젓 1큰술 (국물까지 사용)
- 멸치 액젓 또는 까나리 액젓 2큰술
- 소금 약간 (간을 보며 추가)
- 찹쌀가루 3큰술
- 물 1컵 (200ml)
절임물
- 물 1리터 (1000ml)
- 굵은 소금 1/2컵 (종이컵 기준)
- 뉴슈가 1/2큰술 (설탕으로 대체 가능)
- 식초 1큰술
김치 양념
- 고춧가루 1/2컵 (종이컵 기준, 맵기 조절)
- 다진 마늘 3큰술
- 다진 생강 1/2줌 (엄지손가락 한 마디 정도)
- 사과 1개 (중간 크기, 껍질 벗기고 씨 제거)
- 양파 1/2개 (중간 크기)
- 새우젓 1큰술 (국물까지 사용)
- 멸치 액젓 또는 까나리 액젓 2큰술
- 소금 약간 (간을 보며 추가)
- 고춧가루 1/2컵 (종이컵 기준, 맵기 조절)
- 다진 마늘 3큰술
- 다진 생강 1/2줌 (엄지손가락 한 마디 정도)
- 사과 1개 (중간 크기, 껍질 벗기고 씨 제거)
- 양파 1/2개 (중간 크기)
- 새우젓 1큰술 (국물까지 사용)
- 멸치 액젓 또는 까나리 액젓 2큰술
- 소금 약간 (간을 보며 추가)
조리 방법
Step 1
총각김치의 누런 잎과 시든 잎은 제거하고, 뿌리 부분의 흙을 깨끗하게 씻어내세요. 굵은 뿌리는 칼등으로 긁어내거나 살짝 벗겨내면 더욱 깔끔합니다.
Step 2
알타리무를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주세요. 김치로 담갔을 때 익숙한 길이가 되도록, 저는 보통 4등분 해서 길쭉하게 잘라줍니다. 쪽파도 비슷한 길이로 썰어 준비합니다.
Step 3
총각김치가 아삭하게 절여지도록 소금물에 절여줍니다. 물 1L에 굵은 소금 1/2컵, 뉴슈가 1/2큰술, 식초 1큰술을 넣고 잘 녹인 후, 손질한 알타리무를 모두 담가 1시간 이상 충분히 절여주세요. 중간에 한번 뒤적여주면 골고루 절여집니다.
Step 4
찹쌀풀을 만들어 식혀주세요. 냄비에 찹쌀가루 3큰술과 물 1컵을 넣고 덩어리 없이 잘 풀어준 뒤, 약한 불에서 저어가며 끓여주세요. 걸쭉한 농도가 되면 불을 끄고 완전히 식혀줍니다.
Step 5
양념을 갈아줄 준비를 합니다. 믹서에 껍질 벗겨 씨 제거한 사과 1개, 1/2개의 양파, 다진 생강, 통마늘(분량 외 추가 또는 양념에 있는 마늘 전부)을 넣고 생수 약 1/2컵을 부어 곱게 갈아주세요. 이때 생수를 너무 많이 넣으면 양념이 묽어지니 주의하세요.
Step 6
넓은 볼에 갈아놓은 양념과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새우젓, 액젓, 식혀둔 찹쌀풀, 그리고 썰어둔 쪽파를 모두 넣고 골고루 섞어 양념을 만들어 줍니다. 아직 소금은 넣지 마세요.
Step 7
이렇게 기본 양념이 완성되었습니다. 색감도 너무 예쁘죠?
Step 8
소금물에 절여진 알타리무를 건져 양념에 바로 넣고 버무려 줍니다. 절임물은 절대 씻어내지 마세요! 양념이 무에 잘 배도록 살살 버무려 주세요. 간을 보고 싱거우면 소금을 약간 추가해 간을 맞춰주세요.
Step 9
완성된 총각김치를 김치통에 차곡차곡 담아줍니다. 실온에서 3~4시간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고에 넣어 바로 드시면 됩니다. 익히지 않아도 무의 단맛과 양념의 조화로 맵지 않고 짜지 않아 누구나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싱그러운 초록빛 총각김치로 맛있는 식탁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