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법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법

여름 별미! 시원하고 맛있는 열무얼갈이김치 황금 레시피: 상세 과정 및 꿀팁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법

여름철 입맛 없을 때 딱!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려요. 국물까지 맛있는 열무얼갈이 물김치와 김치말이 국수까지 즐길 수 있는 여름 대표 김치 레시피를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집에서 담근 김치 하나로 든든한 여름 반찬을 완성할 수 있답니다.

요리 정보

  • 분류 : 김치/젓갈/장류
  • 재료 : 채소류
  • 상황 : 일상
  • 조리법 : 절임
  • 인분 : 6 인분 이상
  • 조리시간 : 2 시간 이상
  • 난이도 : 초급

주재료

  • 열무 (손질 후) 1kg
  • 얼갈이배추 (손질 후) 900g
  • 쪽파 150g

절임용

  • 천일염 1컵

밀가루 풀

  • 밀가루 1스푼 (가득)
  • 물 1.5컵

김치 양념

  • 고춧가루 5스푼
  • 매실청 50ml
  • 다진 마늘 3스푼
  • 고운 소금 1스푼
  • 물 3컵

김치 고명

  • 홍고추 1개
  • 양파 1/2개

갈아줄 재료 (믹서기용)

  • 건고추 30g
  • 물 2컵 (건고추 불릴 용도)
  • 홍고추 3개
  • 양파 1개
  • 배 (얼린 것) 50g
  • 새우젓 1.5스푼
  • 무청 70ml
  • 생강청 1스푼 (또는 생강 1톨)
  • 멸치액젓 5스푼

조리 방법

Step 1

열무와 얼갈이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요. 열무는 잎이 연하고 비타민 A, C가 풍부하며 식욕을 돋우는 보양 채소입니다. 얼갈이는 이른 봄에 나오는 것을 특히 ‘얼갈이배추’라고 부르며, ‘얼면서 녹는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어요.

Step 1

Step 2

새벽 배송으로 받은 싱싱한 열무와 얼갈이 상태를 설명합니다. 겉보기에는 억세 보여도 김치를 담그면 부드럽고 맛있다는 점을 강조해요.

Step 2

Step 3

열무 손질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무가 조금 큰 경우, 총각김치처럼 칼로 잔뿌리를 살살 긁어내고, 무와 줄기 사이를 깨끗하게 다듬어줍니다.

Step 3

Step 4

손질한 열무의 무 부분을 짧게 자르고, 줄기는 5~6cm 길이로 썰어줍니다. 무는 먹기 좋게 반으로 갈라줍니다. 이렇게 하면 양념이 골고루 배어요.

Step 4

Step 5

얼갈이는 뿌리 부분을 잘라내고, 잎 끝부분의 지저분한 부분만 살짝 정리해줍니다. 다듬는 정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Step 5

Step 6

얼갈이도 열무와 비슷한 크기로 먹기 좋게 잘라줍니다. 채소가 고르게 썰어져야 나중에 김치가 익었을 때 모양도 예쁘고 먹기도 편해요.

Step 6

Step 7

열무와 얼갈이는 따로 절이지 않아도 되므로, 큰 볼에 물을 넉넉히 담고 살살 흔들어 씻어줍니다. 풋내가 나지 않도록 아기를 다루듯 부드럽게 3번 정도 씻어 건져냅니다. 씻는 과정에서의 주의사항을 강조합니다.

Step 7

Step 8

절임용으로 간수가 빠진 10년 된 천일염 1컵을 준비합니다. 좋은 품질의 소금을 사용하는 것이 김치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려줍니다.

Step 8

Step 9

큰 양푼에 씻어둔 열무와 얼갈이를 담고, 소금을 뿌려가며 골고루 절여줍니다. 열무를 먼저 넣고 소금을 뿌린 뒤, 얼갈이를 얹고 다시 소금을 뿌리는 식으로 층층이 쌓아 절입니다. 중간에 한두 번 뒤집어주며 약 2시간 정도 절여줍니다. 열무가 너무 무르지 않도록 적당히 절이는 것이 중요하며, 절이는 시간은 열무의 상태와 양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고 팁을 줍니다.

Step 9

Step 10

열무와 얼갈이가 절여지는 동안 김치 양념에 들어갈 재료를 준비합니다. 믹서기에 갈아줄 재료로는 얼린 배, 홍고추 3개, 생강 대신 사용할 생강청, 양파 1개를 준비합니다. 각 재료의 역할과 대체 가능한 재료를 함께 설명합니다.

Step 10

Step 11

건고추는 깨끗하게 2~3번 씻어준 후, 정수기 물 2컵에 담가 부드럽게 불려줍니다. 불린 건고추는 양념의 깊은 맛과 색감을 더해줍니다.

Step 11

Step 12

여름철 열무김치에는 찹쌀 풀보다 밀가루 풀이 더 잘 어울린다고 설명합니다. 밀가루 1스푼을 수북하게 담아 물 1.5컵을 붓고 덩어리 없이 잘 풀어준 뒤, 약불에서 저어가며 끓입니다. 팔팔 끓인 후에는 완전히 식혀서 사용해야 합니다. 끓이는 과정에서의 팁(덩어리지지 않게, 눌어붙지 않게)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Step 12

Step 13

여름 열무김치의 맛을 살리는 비법으로 홍고추와 건고추를 함께 갈아 넣는 것을 소개합니다. 홍고추의 매콤함과 단맛이 양념을 맛있게 만들어 줍니다. 건고추가 없을 경우 홍고추 양을 늘려 대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강 대신 생강청을 사용하고 무청을 넣으면 국물이 시원하고 알싸한 맛이 더해진다고 덧붙입니다. 무청은 선택 사항입니다.

Step 13

Step 14

믹서기에 갈아줄 재료를 넣습니다. 홍고추, 생강청, 무청을 먼저 넣고, 얼린 배와 불린 건고추를 넣습니다. 건고추 불린 물 2컵도 함께 넣고 멸치액젓도 부어줍니다. 재료를 순서대로 넣는 이유를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Step 14

Step 15

새우젓을 넣고 믹서기로 갈아줍니다. 믹서기가 잘 돌아가도록 건고추 불린 물, 멸치액젓, 무청 등이 충분히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드럽게 갈릴 때까지 믹서기를 작동시킵니다. 재료들이 뭉치지 않고 고르게 갈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 15

Step 16

약 2시간 동안 절여진 열무와 얼갈이는 흐르는 물에 2번 정도 가볍게 씻어 건져냅니다. 절이기 전에 깨끗하게 씻었고, 절인 후 너무 많이 씻으면 김치의 단맛과 영양이 빠져나갈 수 있으니 살살 씻어 물기를 꼭 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 16

Step 17

김치 양념으로 사용할 갈아놓은 재료 외에, 김치 고명으로 넣을 쪽파, 다진 마늘, 양파, 홍고추를 준비합니다. 씻어서 물기를 뺀 열무와 얼갈이에 준비한 고명 재료들을 넣어줍니다. 모든 재료가 잘 어우러지도록 준비합니다.

Step 17

Step 18

갈아놓은 양념과 식힌 밀가루 풀을 잘 섞어줍니다. 김치통에 바로 열무를 담고 양념을 붓는 대신, 양념을 먼저 잘 섞어준 후 열무와 함께 버무리면 양념이 훨씬 더 골고루 배어든다고 설명합니다. 살살 2~3번 뒤집어가며 양념이 잘 섞이도록 버무립니다.

Step 18

Step 19

매실청을 부어줍니다. 김치의 전체적인 간을 보고, 부족한 간은 고운 소금을 추가하여 맞춰줍니다. 매실청은 단맛과 감칠맛을 더해줍니다. 간을 맞추는 과정에서 맛을 보며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 19

Step 20

고운 소금으로 최종 간을 맞춥니다. 이 레시피에서는 국물을 많이 붓지 않고 자작하게 만드는 열무얼갈이 물김치 스타일임을 언급합니다. 원하는 국물의 양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Step 20

Step 21

물 5컵을 추가하여 국물이 자작한 열무얼갈이 물김치를 완성합니다. 김치통에 담고 김치를 꾹꾹 눌러 담은 뒤, 실온에서 반나절(약 5시간) 정도 두었다가 바로 김치냉장고에 넣어 숙성시킵니다. 바로 먹는 생김치를 좋아하면 실온 숙성 시간을 줄이고, 익은 김치를 좋아하면 시간을 늘려도 좋다고 팁을 제공합니다.

Step 21

Step 22

김치를 담근 직후 바로 떠서 찍은 사진을 보여줍니다. 신선하고 아삭한 김치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Step 22

Step 23

바로 먹어도 아삭하고 맛있다고 강조합니다. 밥과 함께 먹으면 밥 한 그릇이 금세 사라질 정도라고 맛있음을 표현합니다. 바로 담은 김치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맞는 팁을 제공합니다.

Step 23

Step 24

실온에서 5시간 숙성시킨 후 김치냉장고에 넣기 전에 한 그릇 떠서 보여줍니다. 따뜻한 날씨 덕분에 숙성이 잘 된 상태를 보여주며, 개인의 취향에 맞춰 숙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Step 24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 법에 댓글 닫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