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둠전 찌개: 남은 전으로 만드는 얼큰 칼칼 밥도둑
모둠전 찌개: 남은 전으로 만드는 얼큰 칼칼 밥도둑
명절 남은 전 활용법, 모둠전 찌개, 파김치 전찌개, 잡탕 섞어찌개, 남은전요리
명절에 조금 만들어두었던 전, 혹시 남으셨나요? 걱정 마세요! 남은 전과 아삭한 파김치, 신선한 숙주를 넣어 끓이면 밥도둑이 따로 없는 ‘모둠전 찌개’를 만들 수 있답니다. 푸짐하게 끓여낸 찌개는 명절의 느끼함은 싹 잡아주고, 칼칼하면서도 깊은 국물 맛이 일품이에요. 배추김치와는 또 다른 매력의 파김치 전찌개는 한 냄비 뚝딱 비우게 될 거예요. 다이어트 걱정은 잠시 접어두고, 입맛 없을 때 별미로 즐겨보세요!
주재료- 남은 모둠전 약간
- 느타리버섯 1개
- 표고버섯 1개
- 청양고추 2개
- 홍고추 1개
- 대파 10cm 길이
- 파김치 1/3컵
- 숙주 100g
양념 및 육수- 고춧가루 1큰술
- 다진 마늘 0.5큰술
- 참치액 1큰술 (감칠맛 담당)
- 후추 약간
- 쌀뜨물 500ml (약 2.5컵)
- 고춧가루 1큰술
- 다진 마늘 0.5큰술
- 참치액 1큰술 (감칠맛 담당)
- 후추 약간
- 쌀뜨물 500ml (약 2.5컵)
조리 방법
Step 1
온 가족이 함께 즐길 때는 식탁 위에 냄비를 올리고 보글보글 끓여가며 앞접시에 덜어 먹으면, 어떤 고급 전골이나 찌개 부럽지 않은 푸짐한 식탁이 완성됩니다.
Step 2
특히 파김치를 넣어 끓이면 칼칼한 맛이 더해져 명절 음식의 느끼함 없이 깔끔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어요.
Step 3
냄비 바닥에 먹기 좋게 썰어둔 파김치 1/3컵을 깔아주세요. 그 위에 깨끗하게 씻은 숙주 100g을 듬뿍 올리고, 준비해둔 남은 모둠전을 보기 좋게 둘러 담아주세요.
Step 4
고춧가루 1큰술을 골고루 뿌린 후, 쌀뜨물을 재료가 거의 잠길 정도로 가장자리에 둘러 부어주세요. (쌀뜨물은 밥 지을 때 나오는 것으로, 찌개 맛을 부드럽고 구수하게 만들어줍니다.) 만약 매운 파김치가 아닌 배추김치나 묵은지를 사용하신다면, 고춧가루나 새우젓, 액젓을 약간 추가하여 간을 맞춰주시면 더욱 깊은 맛을 낼 수 있어요. 이 레시피는 별도의 육수 없이 끓이는 것이 특징이며, 부족한 감칠맛은 참치액 1큰술로 보충해줍니다.
Step 5
준비한 모둠전 위에 어슷 썬 대파, 청양고추, 홍고추를 보기 좋게 올려주세요. 이제 센 불에서 보글보글 끓여주면 맛있는 모둠전 찌개가 완성됩니다!
Step 6
찌개가 끓는 동안 맛있는 냄새가 온 집안에 퍼져 식욕을 자극하며, 밥 한 그릇을 절로 부르게 만듭니다.
Step 7
가장 맛있게 즐기는 방법은 역시 냄비째 식탁에 올려 갓 끓여낸 따뜻함을 그대로 맛보는 것이랍니다. 만약 쑥갓이나 다른 향긋한 채소가 있다면 함께 넣어주셔도 풍미가 더욱 좋아져요.
Step 8
이날은 소고기 육전이 들어갔으면 더 맛있었을 텐데, 아쉽게도 준비된 육전이 없었네요. 육전이 있다면 꼭 넣어보세요. 풍성한 맛이 배가될 거예요.
Step 9
이처럼 명절에 남은 음식을 알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모둠전 찌개는, 여러 가지 재료를 한데 모아 끓인 잡탕 찌개와도 같습니다. 다양한 재료에서 우러나오는 맛의 조화 덕분에, 육수 없이 쌀뜨물만으로도 충분히 깊고 맛있는 찌개를 만들 수 있답니다.
Step 10
명절의 풍성함을 담아 얼큰하고 칼칼하게 끓여낸 전 찌개로, 별도의 특별한 양념 없이도 최고의 맛을 경험해보세요. 맛있게 만들어 즐거운 식사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